가미오 미쓰오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미오 미쓰오미는 일본 제국 육군의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칭다오 공략을 지휘한 인물이다. 그는 1874년 육군 교도단에 입대하여 군 경력을 시작했으며, 청일 전쟁, 러일 전쟁 등에 참전했다. 1912년 제18사단장으로 칭다오 공략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이후 칭다오 일본 총독, 육군 대장을 역임하고 남작 작위를 받았다. 1917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1927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막말 스와번 사람 - 와타나베 구니타케
와타나베 구니타케는 메이지 시대에 대장대신을 지낸 일본의 정치인이자 관료로, 긴축 재정을 추진하고 자유민권운동 진압에 관여했으며 독신으로 형의 아들을 양자로 들였다. - 막말 스와번 사람 - 와타나베 지아키
와타나베 지아키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관료이자 정치인으로, 가고시마 현령, 홋카이도청 장관, 궁내대신 등을 역임하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고, 한일 병합에 기여한 공로로 백작 작위를 받았으며, 고서적과 고필적을 수집한 수집가였다. - 독일-일본 전쟁 관련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독일-일본 전쟁 관련자 - 오쿠마 시게노부
오쿠마 시게노부는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이자 교육자로, 두 차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재정 개혁, 철도 건설, 헌법 제정, 와세다 대학 설립 등에 기여했으나, 제국주의적 정책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 세인트마이클앤드세인트조지 훈장 - 헬무트 콜
헬무트 콜은 1982년부터 1998년까지 서독과 통일 독일의 연방총리를 역임하며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을 이끌고 유럽 연합 통합에 기여했으나, 정치자금 스캔들, 건강 악화, 가족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던 독일의 정치인이다. - 세인트마이클앤드세인트조지 훈장 - 이노우에 가오루
이노우에 가오루는 조슈번 출신으로,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약하며 일본의 근대화와 불평등 조약 개정에 힘썼고, 겐로로서 정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다 사망했다.
가미오 미쓰오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인물 정보 | |
작위 | 남작 |
칭호 | GCMG |
출생일 | 1856년 2월 27일 |
사망일 | 1927년 2월 6일 |
출생지 | 나가노현오카야 |
사망지 | 도쿄 |
병역 정보 | |
소속 | 일본 제국 |
군종 | 육군 |
복무 기간 | 1874년 – 1925년 |
최종 계급 | 육군 대장 |
주요 지휘 | 제18사단 |
참전 | 서남 전쟁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
훈장 | |
훈장 | 욱일장 금치훈장 공일급 금치훈장 |
기타 훈장 | 성 미카엘과 성 조지 훈장 명예 기사 그랜드 크로스 (GCMG) |
2. 생애
가미오 미쓰오미는 시나노국(현재의 나가노현) 스와군 오카야 마을(현: 오카야시)에서 스와번의 무사, 가미오 헤이자부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5] 1874년(메이지 7년) 10월, 육군교도단에 입대했다.[5] 1876년(메이지 9년) 2월, 교도단을 졸업하고 육군 보병 군조에 임관했다.[5] 1877년(메이지 10년) 1월부터 서남 전쟁에 종군하여, 7월에 조장, 10월에 소위 시보로 진급했다.[5] 1879년(메이지 12년) 2월 1일, 서남 전쟁의 전공으로 육군 소위로 진급, 1882년(메이지 15년) 4월에는 육군 중위를 명받았다.[5] 같은 해 7월부터 참모본부 출사의 신분으로 청나라로 건너갔다.[5] 1885년(메이지 18년) 8월, 육군 대위로 진급, 1886년(메이지 19년) 2월에 귀국했다.[5] 같은 해 4월, 보병 제11연대중대장을 맡고, 1888년(메이지 21년) 5월, 참모본부 출사로 옮겨, 1889년(메이지 22년) 12월부터 참모본부 제2국원이 되었다.[5] 1891년(메이지 24년) 12월, 육군 소좌로 승진하여, 보병 제1연대 부속이 되었다.[5]
1892년(메이지 25년) 4월 28일부터 후일 주재무관에 해당하는 청나라 공사관 부속을 맡았다.[5] 1894년(메이지 27년) 8월 17일에 귀국하여 같은 해 10월부터 제2군정보 주임 참모로서 청일 전쟁에 출정했다.[5] 1895년(메이지 28년) 1월, 육군 중좌로 진급하여, 같은 해 6월 2일부터 다시 청나라 공사관 부속이 되었다.[5] 1897년(메이지 30년) 10월 11일, 육군 대좌 진급과 함께 근위보병 제3연대장을 명받았다.[5]
1899년(메이지 32년) 2월에는 참모본부 출사의 신분으로 유럽에 출장했다.[5] 1900년(메이지 33년) 4월, 제1사단참모장에 취임하여, 같은 해 7월 참모본부 부속을 거쳐, 1901년(메이지 34년) 2월, 제10사단 참모장을 명받았다.[5] 1902년(메이지 35년) 5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보병 제22여단장을 명받았다.[5] 1904년(메이지 37년) 8월, 요동 수비군 참모장에 취임하여, 1905년(메이지 38년) 6월부터 대본영 부속을 명받아, 같은 달 안에 청국 주둔군 사령관을 맡았다.[5] 1906년(메이지 39년) 11월, 관동도독부 참모장으로 옮겼다.[5] 1907년(메이지 40년) 11월, 근위보병 제1여단장을 거쳐, 1908년(메이지 41년) 12월, 육군 중장으로 진급, 제9사단장에 임명되었다.[5]
1912년(다이쇼 원년) 12월, 제18사단장으로 옮겨,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1914년(다이쇼 3년)에 칭다오 공략을 지휘하여 이를 공략, 같은 해 11월부터 칭다오 수비군 사령관이 되었다.[5] 1915년(다이쇼 4년) 5월, 도쿄 위수 총독을 명받았고, 1916년(다이쇼 5년) 6월, 육군 대장으로 진급했다.[5] 같은 해 7월, 전장의 공적으로 남작의 작위를 수여받아 화족에 열해졌다.[5]
같은 해 8월 대기 상태가 되었고, 1917년(다이쇼 6년) 8월 6일 본인의 희망에 따라 예비역 편입[5]. 1921년(다이쇼 10년) 4월 예비역을 거쳐 1925년(다이쇼 14년) 4월에 퇴역했다.[5] 1927년(쇼와 2년) 2월 6일 훙거했다.[5] 묘소는 도쿄도도요시마구미나미이케부쿠로의 조시가야 영원이다.[5]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가미오 미쓰오미는 시나노국(현재의 나가노현) 스와 씨족의 사무라이 가신인 가미오 헤이자부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5] 1874년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877년 사쓰마 전쟁에 보병 하사관으로 참전했다.[5] 그는 빠르게 진급하여 상사가 되었고, 같은 해 말 임시 소위로 임관했다. 1882년 정식 중위로 진급했다.[5]1885년부터 1886년까지 청나라에 무관으로 파견되었으며,[2] 이 기간 동안 대위로 진급했다. 일본으로 돌아와 여러 참모 직책을 거쳐 1891년 소령이 되었다. 1892년부터 1894년까지 다시 베이징 주재 일본 대사관 무관으로 중국에 파견되었다.[5] 1894년부터 1895년까지 벌어진 청일 전쟁에서 일본 제2군 참모 장교로 참전했다.[5] 전쟁이 끝날 무렵 중령으로 진급했고, 1897년 제3 근위 연대장을 맡으며 대령으로 진급했다.[5]
1899년 유럽에 파견되었다가,[5] 1900년 일본 제국 육군 제1 사단 참모장,[5] 1901년 일본 제국 육군 제10 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5] 1902년 소장으로 진급했다.[5]
러일 전쟁 동안 제22여단, 일본 주둔 중국군, 일본 제국 육군 제9 사단, 일본 제국 육군 제18 사단 등에서 근무했지만, 최전선 전투 부대는 아니었다.[3] 1908년 중장으로 진급했고, 1912년부터 일본 제국 육군 제18 사단 사령관을 맡았다.[5]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칭다오 공방전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 지상군을 이끌고 독일로부터 칭다오를 점령하는 임무를 맡았다.[4] 그는 유혈 사태를 최소화하기 위해 물류와 화력을 집중시키는 전략을 사용했다.[4] 1914년 9월, 144문의 대포 지원을 받은 23,000명의 병력이 칭다오 항구 포격을 시작했고, 2개월여 만에 항구를 함락시켰다. 그의 포위 전술은 포병 전술을 신중하게 배치하여 보병 진격을 지원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4]
이후 칭다오의 일본 총독으로 재임했으며, 1916년 대장으로 진급하고 남작 작위를 받았다.[5] 1917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1925년 완전히 퇴역했다.[5] 1927년 사망하여 조시가야 묘지에 안장되었다.[5]
2. 2. 청나라 주재 무관 및 청일 전쟁
가미오 미쓰오미는 시나노국(현재의 나가노현) 스와 씨족의 사무라이 가신인 가미오 헤이자부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874년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877년 사쓰마 전쟁에 하사관으로 참전했다.[2] 이후 소위, 중위로 진급했다.1885년부터 1886년까지 청나라에서 무관으로 복무하며 대위로 진급했다.[2] 일본으로 돌아와 여러 참모 직책을 거쳐 1891년 소령이 되었다. 1892년부터 1894년까지 베이징 주재 일본 대사관의 무관으로 다시 중국에 파견되었다.
1894년부터 1895년까지 벌어진 청일 전쟁에서 가미오는 일본 제2군의 참모 장교로 임명되었다.[2] 그는 전쟁이 끝날 무렵 중령으로 진급했고, 1897년에는 제3 근위 연대 지휘를 맡으며 대령으로 진급했다.
1899년 2월부터 1900년 4월까지 유럽에 파견되었다. 그 후 일본 제국 육군 제1 사단 및 일본 제국 육군 제10 사단의 참모장을 지냈고, 1902년 5월 소장으로 진급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가미오는 칭다오 공방전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 지상군을 이끌고 독일로부터 칭다오를 점령하는 임무를 맡았다.[4] 그는 압도적인 화력을 사용하여 최대한 유혈 사태를 줄이는 전략을 사용했다.[4] 1914년 9월 2일, 144문의 대포 지원을 받은 가미오의 18사단 23,000명이 항구에 대한 포격을 시작했고, 2개월여 만에 항구를 함락시켰다. 그의 포위 전술은 포병 전술을 신중하게 배치하여 보병의 진격을 도왔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가미오는 칭다오의 일본 총독으로 재임했으며, 1916년 6월 대장으로 진급했다. 같은 해 7월, 화족 귀족 제도의 남작(''단샤쿠'') 작위를 받았다.
그는 1917년 8월에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 1925년에 완전히 퇴역했다. 1927년 사망하여 조시가야 묘지에 묻혔다.
2. 3. 유럽 출장 및 러일 전쟁
가미오 미쓰오미는 시나노국(현재의 나가노현) 스와 씨족의 사무라이 가신 집안 출신으로, 1874년 육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사쓰마 전쟁에 참전했다. 1885년부터 1886년까지 청나라에서 무관으로 복무했으며,[2] 1892년부터 1894년까지 베이징 주재 일본 대사관 무관으로 다시 중국에 파견되었다. 청일 전쟁 당시 일본 제2군의 참모 장교로 임명되었고, 종전 후 1897년 제3 근위 연대 지휘관을 맡았다.1899년 유럽에 파견되었고, 귀국 후 1900년 일본 제국 육군 제1 사단 참모장, 1901년 일본 제국 육군 제10 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1902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러일 전쟁 동안에는 제22여단, 일본 주둔 중국군, 일본 제국 육군 제9 사단 및 일본 제국 육군 제18 사단 등에서 근무했지만, 최전선 전투 부대는 아니었다.[3]
1908년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여 1912년부터 일본 제국 육군 제18 사단 사령관을 역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1914년 칭다오 공방전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 지상군을 이끌고 독일로부터 칭다오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 가미오는 유혈 사태를 최소화하기 위해 물류와 화력을 집중시키는 전략을 사용했다.[4] 1914년 여름, 144문의 대포 지원을 받은 23,000명의 병력이 9월 2일 칭다오 항구 포격을 시작, 2개월여 만에 함락시켰다.
이후 칭다오의 일본 총독으로 재임했으며, 1916년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고 남작 작위를 받았다. 1917년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5] 1925년 완전히 퇴역했다. 1927년 사망 후 조시가야 묘지에 안장되었다.
2. 4. 제1차 세계 대전과 칭다오 공략
가미오 미쓰오미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칭다오 공략을 지휘한 일본군 대장이다. 1912년 일본 제국 육군 제18 사단장에 임명된 가미오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4년 칭다오 공방전에서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의 지상군을 이끌었다.[4] 그는 뛰어난 능력보다는 신중함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유혈 사태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물류와 압도적인 화력을 아낌없이 사용했다.[4]1914년 여름, 144문의 대포로 지원을 받은 가미오의 18사단 23,000명이 1914년 9월 2일에 항구에 대한 포격을 시작했다.[4] 항구는 2개월 남짓 지나 함락되었고, 가미오의 포위 전술은 보병의 진격을 돕기 위해 포병 전술을 신중하게 배치한 그의 숙련도에 대한 칭찬을 받았다.[4]
칭다오 공략 이후, 가미오는 칭다오의 일본 총독으로 재임했으며, 1916년 6월에는 정식 대장으로 진급했다. 같은 해 7월, 그는 화족 귀족 제도의 남작 (''단샤쿠'')으로 격상되는 영예를 얻었다.[5]
2. 5. 말년
가미오 미쓰오미는 1917년 8월에 예비역으로 편입되었고,[5] 1925년에는 완전히 퇴역했다. 그는 1927년에 사망하여 조시가야 묘지에 묻혔다. 시나노국 스와군 오카야 마을(현: 오카야시)에서 스와번의 무사, 가미오 헤이자부로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921년(다이쇼 10년) 4월 예비역을 거쳐 1925년(다이쇼 14년) 4월에 퇴역했다. 1927년(쇼와 2년) 2월 6일 훙거했다. 묘소는 도쿄도도요시마구미나미이케부쿠로의 조시가야 영원이다.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4. 가족 관계
아내 마쓰는 에자키 마사쿠니(전 마쓰모토번사, 후 회계국 관리)의 장녀이다. 장녀 아이는 야소시마 키주지로의 아내이다. 차녀 야스코는 작가 아리시마 다케오에게 시집갔다. 장남 가미오 키이치가 1931년에 사망했기 때문에, 가미오가는 아리시마 다케오의 삼남 유키조가 이었다. 삼녀 류코는 다코 사네오의 아내이다.
5. 서훈
가미오 미쓰오미는 1895년 6월 8일 정6위[6]를 시작으로, 1897년 10월 30일 종5위[7], 1902년 9월 20일 정5위[8], 1907년 10월 11일 종4위[9], 1909년 11월 30일 정4위[10], 1912년 12월 28일 종3위[11], 1916년 7월 10일 정3위[12], 그리고 1927년 2월 6일 종2위[13]의 위계를 받았다.
1895년 5월 23일 훈5등 서보장[14] 수여를 시작으로, 같은 해 9월 20일 쌍광욱일장 및 공4급 금계훈장[15], 11월 18일 메이지 27, 28년 종군기장[16]을 받았다. 1904년 11월 29일에는 훈3등 서보장[17]을 받았으며, 1906년 4월 1일 훈2등 욱일중광장, 공2급 금계훈장, 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18]을 받았다. 1912년 5월 24일에는 훈1등 서보장[19]을 받았다. 1915년 11월 7일 욱일대수장, 공1급 금계훈장, 다이쇼 3, 4년 종군기장[20]을 받았고, 11월 10일 대례기념장[21]을 받았다. 1916년 7월 14일 남작[22] 작위를 받았으며, 1919년 12월 15일 전첩기장[23]을 받았다.
1895년 5월 23일 훈5등 서보장[14], 9월 20일 쌍광욱일장 및 공4급 금계훈장[15]을 받았다. 같은 해 11월 18일 메이지 27, 28년 종군기장[16]을 받았다. 1904년 11월 29일에는 훈3등 서보장[17]을, 1906년 4월 1일에는 훈2등 욱일중광장 및 공2급 금계훈장, 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18]을 받았다.
1912년 (메이지 45년) 5월 24일 훈1등 서보장[19]을 수여받았고, 1915년 11월 7일 욱일대수장 및 공1급 금계훈장, 다이쇼 3, 4년 종군기장[20]을 받았다. 같은 해 11월 10일 대례기념장[21]을 받았다.
1908년 10월 30일 청나라에서 2등급 3품 하사쌍룡보성/御赐双龙宝星중국어[25]을 받았다. 1909년 10월 26일 Order of Franz Joseph영어대십자장[26], 12월 15일 1등 Order of Saint Stanislaus영어[27]을 받았다. 1915년 9월 30일 성 마이클과 성 조지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28]를 받았다.
5. 1. 일본
가미오 미쓰오미는 1895년 6월 8일 정6위[6]를 시작으로, 1897년 10월 30일 종5위[7], 1902년 9월 20일 정5위[8], 1907년 10월 11일 종4위[9], 1909년 11월 30일 정4위[10], 1912년 12월 28일 종3위[11], 1916년 7월 10일 정3위[12], 그리고 1927년 2월 6일 종2위[13]의 위계를 받았다.1895년 5월 23일 훈5등 서보장[14] 수여를 시작으로, 같은 해 9월 20일 쌍광욱일장 및 공4급 금계훈장[15], 11월 18일 메이지 27, 28년 종군기장[16]을 받았다. 1904년 11월 29일에는 훈3등 서보장[17]을 받았으며, 1906년 4월 1일 훈2등 욱일중광장, 공2급 금계훈장, 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18]을 받았다. 1912년 5월 24일에는 훈1등 서보장[19]을 받았다. 1915년 11월 7일 욱일대수장, 공1급 금계훈장, 다이쇼 3, 4년 종군기장[20]을 받았고, 11월 10일 대례기념장[21]을 받았다. 1916년 7월 14일 남작[22] 작위를 받았으며, 1919년 12월 15일 전첩기장[23]을 받았다.
또한, 외국 훈장으로 2등 적색 독수리 훈장[24], 1908년 10월 30일 두 등급 3품 하사쌍룡보성[25], 1909년 10월 26일 프란츠 요제프 훈장 대십자장[26], 12월 15일 1등 성 스타니슬라우스 훈장[27], 1915년 9월 30일 성 마이클과 성 조지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28]를 착용하는 것이 허가되었다.
5. 2. 외국 훈장
1895년 5월 23일 훈5등 서보장[14], 9월 20일 쌍광욱일장 및 공4급 금계훈장[15]을 받았다. 같은 해 11월 18일 메이지 27, 28년 종군기장[16]을 받았다. 1904년 11월 29일에는 훈3등 서보장[17]을, 1906년 4월 1일에는 훈2등 욱일중광장 및 공2급 금계훈장, 메이지 37, 38년 종군기장[18]을 받았다.1912년 (메이지 45년) 5월 24일 훈1등 서보장[19]을 수여받았고, 1915년 11월 7일 욱일대수장 및 공1급 금계훈장, 다이쇼 3, 4년 종군기장[20]을 받았다. 같은 해 11월 10일 대례기념장[21]을 받았다.
1908년 10월 30일 청나라에서 2등급 3품 하사쌍룡보성/御赐双龙宝星중국어[25]을 받았다. 1909년 10월 26일 Order of Franz Joseph영어대십자장[26], 12월 15일 1등 Order of Saint Stanislaus영어[27]을 받았다. 1915년 9월 30일 성 마이클과 성 조지 훈장 나이트 그랜드 크로스[28]를 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Duffy
http://www.firstworl[...]
[2]
서적
Dragon Lady: The Life and Legend of the Last Empress of China
[3]
웹사이트
Duffy
http://www.firstworl[...]
[4]
웹사이트
Denis
http://www.gwpda.org[...]
[5]
간행물
『官報』第1505号
1917-08-07
[6]
간행물
『官報』第3582号「叙任及辞令」
1895-06-10
[7]
간행물
『官報』第4302号「叙任及辞令」
1897-11-01
[8]
간행물
『官報』第5767号「叙任及辞令」
1902-09-22
[9]
간행물
『官報』第7288号「叙任及辞令」
1907-10-12
[10]
간행물
『官報』第7932号「叙任及辞令」
1909-12-01
[11]
간행물
『官報』第126号「叙任及辞令」
1912-12-29
[12]
간행물
『官報』第1183号「叙任及辞令」
1916-07-11
[13]
간행물
『官報』第33号「叙任及辞令」
1927-02-10
[14]
간행물
『官報』第3578号「叙任及辞令」
1895-06-05
[15]
간행물
『官報』第3671号「叙任及辞令」
1895-09-21
[16]
간행물
『官報』第3824号・付録「辞令」
1896-04-01
[17]
간행물
『官報』第6426号「敍任及辞令」
1904-11-30
[18]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1906-12-30
[19]
간행물
『官報』第8679号「叙任及辞令」
1912-05-27
[20]
간행물
『官報』第1067号「叙任及辞令」
1916-02-24
[21]
간행물
『官報』第1310号・付録「辞令」
1916-12-13
[22]
간행물
『官報』第1187号「叙任及辞令」
1916-07-15
[23]
간행물
『官報』第2903号「叙任及辞令」
1922-04-10
[24]
간행물
『陸軍現役将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明治45年7月1日調)
"{{NDLDC|1209808}}"
[25]
간행물
『官報』第7607号「叙任及辞令」
"{{NDLDC|2951256}}"
1908-11-02
[26]
간행물
『官報』第7906号「叙任及辞令」
"{{NDLDC|2951256}}"
1909-10-26
[27]
간행물
『官報』第7950号「叙任及辞令」
"{{NDLDC|2951301}}"
1909-12-22
[28]
간행물
『官報』第950号「叙任及辞令」
"{{NDLDC|2953058}}"
1915-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